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육아휴직 중 월급 얼마나 받을까? 실수령액 계산기보다 정확하게!

by 브레인 믹서 2025. 9. 24.
반응형

육아휴직 급여, 진짜 내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얼마일까요?

"육아휴직하면 월급의 몇 퍼센트가 나오지?"
"계산기랑 실제 입금액이 왜 다르지?"

많은 워킹맘·워킹대디들이 육아휴직 실수령액을 궁금해합니다.
단순 비율 계산보다 급여 명세서 기준 통상임금을 기반으로 계산해야 정확해요.

이번 글에서는 실수령액 계산법과 주의사항, 실사례까지 친절히 안내드립니다.


✅ 2025년 육아휴직 급여 기준

기간 지급 비율 지급 한도
1~3개월 통상임금의 80% 월 최대 150만 원 / 최소 70만 원
4~12개월 통상임금의 50% 월 최대 120만 원 / 최소 70만 원

👉 통상임금이란?
기본급과 고정수당만 포함되며, 상여금, 야근수당, 연차수당은 제외됩니다.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수령액 계산 3단계

  1. 최근 3개월 평균 통상임금 확인
    → 급여 명세서에서 기본급 + 고정수당만 더하기
  2. 구간별 지급 비율 적용
    → 1~3개월: 80%, 4~12개월: 50%
  3. 상한/하한 적용
    → 초과 시 상한선으로, 미만 시 하한선 적용

📌 실사례: 월 기본급 250만 원 직장맘 C씨

기간 계산식 실지급액
1~3개월 250만 원 × 80% = 200만 원 월 150만 원 (상한선 적용)
4~12개월 250만 원 × 50% = 125만 원 월 120만 원 (상한선 적용)

📌 총 12개월 기준 실수령액 = 1,710만 원


💰 월급별 육아휴직 급여 비교표

월 통상임금 1~3개월 지급액 4~12개월 지급액 총 급여 (1년)
180만 원 144만 원 90만 원 1,134만 원
220만 원 150만 원 (상한) 110만 원 1,320만 원
300만 원 150만 원 (상한) 120만 원 (상한) 1,710만 원

※ 세금, 건강보험료 등 공제 금액에 따라 실수령액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.


🚫 실수령액 줄이는 흔한 실수 3가지

  • 총 급여로 계산통상임금만 기준
  • 고용보험 가입 180일 미만 ➜ 급여 지급 불가
  • 자녀 만 8세 초과 후 신청 ➜ 자격 상실

🎁 육아휴직 급여 외 추가 혜택도 챙기세요

항목 혜택 내용 신청 방법
육아휴직 장려금 연 최대 120만 원 (지자체별 상이) 시/군/구청 방문 또는 전화
건강보험료 감면 최대 60% 감면 국민건강보험 자동 적용
국민연금 감면 일부 면제 가능 별도 신청 필요

🔎 결론: 실수령액은 직접 계산해야 정확합니다

💡 육아휴직 급여는 '계산기'보다는 내 통상임금 기준으로 직접 계산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급여명세서를 바탕으로 1년치 육아휴직 예산을 먼저 세워보세요.


🔗 참고 사이트

반응형

댓글